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완벽정리 & 은행별 혜택 비교

by 동글뉴스 2025. 6. 6.

 

목돈 마련이 쉽지 않은 청년들에게 희망이 되어주는 청년도약계좌! 정부 지원과 더불어 시중은행들도 다양한 우대금리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어떤 은행에서 가입하느냐에 따라 실질 수익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기본 구조와 함께 은행별 우대 조건 및 혜택까지 꼼꼼하게 비교해드립니다.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이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하면,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월 40만 원의 기여금을 5년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5년 만기 시 이자 + 정부지원금 포함 최대 5,000만 원 이상을 모을 수 있습니다.

2. 기본 가입 조건

  • 만 19세~34세 (병역기간 최대 6년 제외)
  • 개인소득: 연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전환 가능

3. 정부 기여금 차등 지원

정부는 가입자의 가구소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지원합니다.

가구소득 기준 정부지원금 (월) 예상 수령액 (5년)
60% 이하 40만 원 약 2,400만 원
60~100% 30만 원 약 1,800만 원
100~140% 20만 원 약 1,200만 원
140~180% 10만 원 약 600만 원

4. 은행별 우대 혜택 비교

아래는 주요 은행들의 청년도약계좌 관련 우대금리와 혜택 조건을 정리한 표입니다.

은행 기본금리 최대 우대금리 우대 조건
국민은행 3.5% 4.5%
  • KB스타뱅킹 자동이체 등록
  • 급여이체 또는 체크카드 실적
  • KB금융그룹 상품 이용
신한은행 3.4% 4.4%
  • 마이데이터 서비스 연동
  • 신한 쏠(SOL) 앱 자동이체 등록
  • 급여이체 실적
우리은행 3.3% 4.3%
  • 우리WON뱅킹 자동이체 등록
  • 카드 또는 공과금 실적
  • 마이데이터 연동
하나은행 3.6% 4.6%
  • 하나원큐 앱 사용
  • 급여이체 또는 자동이체
  • 마이데이터 연동
농협은행 3.3% 4.3%
  • NH올원뱅크 자동이체 등록
  • 농협카드 실적
  • 급여이체 실적
카카오뱅크 3.7% 4.7%
  • 급여/자동이체 등록
  • 카카오페이 연동
  • 마이데이터 이용 동의
케이뱅크 3.6% 4.5%
  • 자동이체 6회 이상
  • 케이뱅크 체크카드 이용
  • 앱 PUSH 수신 동의

5. 가입 팁

  • 자동이체 등록은 필수입니다. 대부분 은행이 우대금리 조건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빠르게 설정해두세요.
  • 카드 실적도 우대 조건에 반영되므로, 해당 은행의 체크카드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마이데이터 연동은 간단하면서도 우대금리를 챙길 수 있는 효율적인 조건입니다.

6. 맺음말

청년도약계좌는 정부 지원금 + 은행 우대금리를 잘 활용하면 실질 수익률이 매우 높은 재테크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나의 소득 조건과 은행별 혜택을 꼼꼼히 비교하고, 장기적인 자산 형성의 첫걸음을 청년도약계좌로 시작해보세요!

※ 위 정보는 2025년 6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제 조건은 은행별 상품 설명서를 참고하세요.